Categories: Bash Scripts

Bash 스크립트 기초: 반복문 활용 및 자동화 (7일차)







반복문 활용 – Bash 스크립트 기초

반복문 활용 – Bash 스크립트 기초

안녕하세요, mj입니다! 오늘은 Bash 스크립트에서 반복문을 활용하여 데이터 처리 및 자동화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복문은 반복적인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1. 반복문을 통한 자동화

반복문을 사용하면 특정 작업을 자동으로 반복 실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파일 백업, 데이터 수집, 로그 파일 분석 등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2. 실습 예제

이번 섹션에서는 실제로 유용한 스크립트를 작성해보겠습니다. 여러 가지 실습을 통해 반복문의 활용도를 높여보세요.

실습 1: 파일 백업 스크립트

아래의 스크립트는 특정 디렉토리의 파일을 백업하는 스크립트입니다:

#!/bin/bash

backup_dir="backup"
mkdir -p \$backup_dir

for file in *
do
    cp "\$file" "\$backup_dir/"
done
echo "백업 완료: \$backup_dir"

출력 결과 1

백업 완료: backup

실습 2: 특정 패턴의 파일 찾기

특정 패턴을 가진 파일을 찾아 출력하는 스크립트입니다:

#!/bin/bash

echo "현재 디렉토리의 .log 파일 목록:"
for file in *.log
do
    echo "\$file"
done

출력 결과 2

현재 디렉토리의 .log 파일 목록:
error.log
access.log

실습 3: 숫자 파일 생성하기

1부터 50까지의 숫자를 파일로 저장하는 스크립트입니다:

#!/bin/bash

output_file="numbers.txt"
for i in {1..50}
do
    echo "\$i" >> \$output_file
done
echo "숫자 파일 생성 완료: \$output_file"

출력 결과 3

숫자 파일 생성 완료: numbers.txt

실습 4: 1부터 100까지의 합 구하기

아래의 스크립트는 1부터 100까지의 숫자를 더하여 합을 구하는 스크립트입니다:

#!/bin/bash

sum=0
for i in {1..100}
do
    sum=\$((sum + i))
done
echo "1부터 100까지의 합: \$sum"

출력 결과 4

1부터 100까지의 합: 5050

실습 5: 구구단 출력하기

아래의 스크립트는 2단의 구구단을 출력합니다:

#!/bin/bash

for i in {1..9}
do
    echo "2 x \$i = \$((2 * i))"
done

출력 결과 5

2 x 1 = 2
2 x 2 = 4
2 x 3 = 6
2 x 4 = 8
2 x 5 = 10
2 x 6 = 12
2 x 7 = 14
2 x 8 = 16
2 x 9 = 18

실습 6: 특정 파일 찾기

현재 디렉토리에서 특정 확장자를 가진 파일을 찾는 스크립트입니다:

#!/bin/bash

echo "현재 디렉토리의 .txt 파일 목록:"
for file in *.txt
do
    echo "\$file"
done

출력 결과 6

현재 디렉토리의 .txt 파일 목록:
document1.txt
notes.txt

3. 반복문과 조건문 결합하기

반복문과 조건문을 결합하여 더 복잡한 로직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짝수와 홀수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스크립트입니다:

#!/bin/bash

echo "1부터 20까지의 숫자 분류:"
for i in {1..20}
do
    if [ \$((i % 2)) -eq 0 ]; then
        echo "\$i는 짝수입니다."
    else
        echo "\$i는 홀수입니다."
    fi
done

출력 결과 7

1부터 20까지의 숫자 분류:
1는 홀수입니다.
2는 짝수입니다.
3는 홀수입니다.
4는 짝수입니다.
5는 홀수입니다.
6는 짝수입니다.
7는 홀수입니다.
8는 짝수입니다.
9는 홀수입니다.
10는 짝수입니다.
11는 홀수입니다.
12는 짝수입니다.
13는 홀수입니다.
14는 짝수입니다.
15는 홀수입니다.
16는 짝수입니다.
17는 홀수입니다.
18는 짝수입니다.
19는 홀수입니다.
20는 짝수입니다.

4. 파일 내용 처리하기

반복문을 사용하여 파일 내용을 한 줄씩 읽고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bin/bash

filename="example.txt"
echo "파일 '$filename'의 내용 읽기:"
while read line
do
    echo "읽은 줄: \$line"
done 

출력 결과 8

파일 'example.txt'의 내용 읽기:
읽은 줄: 첫 번째 줄
읽은 줄: 두 번째 줄
읽은 줄: 세 번째 줄

오늘은 반복문을 활용하여 데이터 처리 및 자동화 작업을 수행하는 다양한 방법을 배워보았습니다. 반복문을 통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자동화의 중요성을 인식하시길 바랍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더 심화된 내용을 다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mj

Recent Posts

파이썬 대화형 대시보드 디자인 원칙

대화형 대시보드의 효과적인 디자인 원칙과 예시를 소개합니다.

1시간 ago

파이썬으로 대화형 대시보드 구현하기 – mj의 블로그

파이썬을 이용한 대화형 대시보드 구현 방법을 배우고 다양한 예시를 확인하세요.

7시간 ago

파이썬으로 대화형 대시보드 만들기 – 데이터 시각화의 새로운 차원

파이썬으로 대화형 대시보드를 만드는 방법과 기법을 소개합니다.

17시간 ago

파이썬으로 대용량 데이터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파이썬을 이용한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법을 안내합니다.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 방법을 배워보세요.

3일 ago

파이썬에서 대규모 데이터 처리하기: 효과적인 기법과 예시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과 기법을 소개합니다. 파이썬을 활용한 효과적인 예시 포함.

3일 ago

파이썬에서 NumPy로 다차원 배열 다루기 – 효율적인 배열 생성과 조작

NumPy를 활용한 다차원 배열 생성과 조작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6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