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mj입니다!
오늘은 파이썬의 리스트 사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리스트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작하는 데 매우 유용한 자료구조입니다. 리스트의 생성과 조작 방법을 다양한 예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리스트의 생성
리스트는 대괄호([])를 사용하여 생성합니다. 아래는 리스트를 생성하는 몇 가지 방법입니다.
예시 1: 간단한 리스트 생성
fruits = ['사과', '바나나', '체리']
출력: print(fruits)
→ [‘사과’, ‘바나나’, ‘체리’]
예시 2: 빈 리스트 생성
empty_list = []
출력: print(empty_list)
→ []
예시 3: 숫자 리스트 생성
numbers = [1, 2, 3, 4, 5]
출력: print(numbers)
→ [1, 2, 3, 4, 5]
예시 4: 다양한 데이터 타입의 리스트
mixed_list = [1, '두', 3.0, True]
출력: print(mixed_list)
→ [1, ‘두’, 3.0, True]
예시 5: 중첩 리스트 생성
nested_list = [[1, 2], [3, 4], [5, 6]]
출력: print(nested_list)
→ [[1, 2], [3, 4], [5, 6]]
리스트의 조작
리스트는 다양한 방법으로 조작할 수 있습니다. 요소 추가, 삭제, 정렬 등을 포함합니다.
예시 1: 요소 추가하기
fruits.append('포도')
출력: print(fruits)
→ [‘사과’, ‘바나나’, ‘체리’, ‘포도’]
예시 2: 특정 인덱스에 요소 삽입하기
fruits.insert(1, '키위')
출력: print(fruits)
→ [‘사과’, ‘키위’, ‘바나나’, ‘체리’, ‘포도’]
예시 3: 요소 삭제하기
fruits.remove('바나나')
출력: print(fruits)
→ [‘사과’, ‘키위’, ‘체리’, ‘포도’]
예시 4: 인덱스를 사용한 요소 삭제하기
del fruits[0]
출력: print(fruits)
→ [‘키위’, ‘체리’, ‘포도’]
예시 5: 리스트 정렬하기
fruits.sort()
출력: print(fruits)
→ [‘키위’, ‘체리’, ‘포도’]
결론
이렇게 파이썬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조작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리스트는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기능을 통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리스트를 활용하여 더 나은 프로그래밍을 해보세요!